양문모
다중선 그리기
2023. 09. 13. ― 10. 21.
MOONMO YANG
MULTILINE RENDERING
13 September ― 21 October, 2023
≪다중선 그리기≫에 부치는 이 서문은 수차례 썼다가 지우고 다시 쓰기를 반복했다. 글을 짓는 일은 머릿속을 부산하게 떠다니는 생각들을 쌓기보다는 쓸어내는 과정에 가깝다. 어떤 생각을 치우고 나면, 그것은 곧장 휘발하는 게 아니라 간간한 이음새만 두고서도 다른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흡사 내적 스트레칭을 하는 듯이 의식 속의 공간에서 생각의 가동범위를 점차 늘려가는 일은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중에도 면면히 분수령을 이루면서 흐른다. 그렇게 사유는 떠다니거나 떠내려간다. 그것은 정지해 있다가 언제라도 움직일 수 있으며, 한데 엉겨 있으나 어느 틈에서 터질지 모르는 긴장 상태이자 세계에 존재한다. 아니 잠재한다.
양문모의 회화는 여러 겹의 상태가 잠재하는 성질의 추상적 표현들로 점철돼 있다. 추상이라는 표현 형식은 그 자체로 무한히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나는 글을 쓸 때 한 문장 다음에 올 문장을 선택하는 순간을 그가 거쳤을 작업의 과정에 대입시켜 보았다. 그의 회화에는 다양한 색이 능란하게 사용되며, 부분적으로 뒷면의 채색이 앞면에 드러나기도 하고 앞면에 겹쳐 올린 물감이 압도적으로 짙게 발색하기도 한다. 형태는 거침없이 그려진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유달리 도드라지는 구석 없이 점진적인 움직임을 따른 듯한 느낌을 전한다. 작가는 “서로 다른 관점의 충돌에서 파생되는 결과물을 캔버스 위에 남긴다.”[1] 이러한 그리기는 비계기적 생각들의 연접을 통한 글쓰기에서처럼, 붓질의 중층적 국면을 새로운 응시와 자각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그의 태도와 맞닿는다.
작가가 전시 제목으로 삼은 ‘다중선 그리기’는 오토캐드에서 건축도면을 그릴 때 많이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로 사용자가 작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선을 동시에 그려 넣으며, 일반적으로 도면의 기초가 되는 벽체를 만든다. 다중선(Mline)을 현실의 환경적 조건에 예속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면, 그것은 사실 가상 공간에 떠 있는 채로 무한한 경우의 수를 동반한다. 획과 획 사이의 충만한 잠재성, 돌발 가능성은 그가 회화를 바라보는 동시에 만들어가는 창의적 조건이 된다. 그의 그리기는 선택과 동시에 중지되는 수, 그리고 중지와 동시에 이어질 수가 그림에 되먹임되며 추동된다. 이러한 양문모의 회화적 전략은 1인칭적인 인격성을 적극적으로 밀어낼 때 획득될 수 있는 일종의 사물화된 시점에서 기인하며, 그리는 행위와 바라보는 시점 사이의 존재론적 우위를 불가능한 상태로 몰아가는 듯 보인다.
이를테면 전시장의 정면 중앙에는 여섯 점의 회화 <성직자/주술사/탐험가/원주민/선교사/후계자>(2023)가 서로 맞붙어 배치되어 있다. 이 연작은 칠교놀이에 사용되는 조각들을 임의로 조립하고 분해해 보았던 작가의 경험에 착안한 것으로, 미술사적으로 전형화된 추상회화와 유비해서 봤을 때 일견 기하학적 추상의 외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표면 위로 떠오른 층들은 응집했다가 흩어지고, 가벼움과 함께 무거움을 자아내며 상호 교호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순수하고 절대적인 조형 원리에서 미끄러진다. 그리고 아마도 작가가 무심히 제목으로 붙였을 여섯 가지 인간 유형은 흥미롭게도 세속인과는 정반대의 위치를 점한다. 어쩌면 이러한 언표는 종래 미술의 형식에 구애되지 않으면서 창작에 대한 관념에 얽매이지도 않는, 행위자인 동시에 수신자로서 회화를 탐색하는 양문모의 태도 또는 관점을 다시 한번 뒷받침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 밖에 작가가 꾸준히 다루는 드로잉, 조각, 영상 작업들 역시 구체적인 지시 대상을 갖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회화를 통한 자기-다중화 실험을 한층 더 세밀하게 구성한다. 그는 도달하고자 하는 완전한 세계를 그린 상태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어떤 세계로 갈 수 밖에 없는 방향만 가지고, 실패하면서 나아간다.
글: 김하연
각주
[1] 양문모 작가노트(2023. 8. 08)에서 발췌.
I have written, erased, and rewritten this preface to “Multiline Rendering” repeatedly. Writing is more of a process of sweeping away the thoughts floating around in your head rather than accumulating them. Once you get rid of a thought, it doesn't volatilize right away. It could lead to another thought if there is just a little seam. As if doing internal stretching, the process of gradually increasing the range of thoughts in the space of consciousness flows continuously, forming watersheds throughout the chain. In this way, thoughts float or drift away. They are stationary, and then mobile; they exist in tension while being entangled together without knowing at what point they will explode out. Well, they are rather latent.
The paintings by Moonmo Yang are dotted with abstract expressions where many layers lie latent. The mode of expression, so-called abstract art, can give rise to a virtually infinite number of new meanings today. And I have attempted to apply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succeeding sentence to the preceding one when I write. Throughout his paintings, a variety of colors are skillfully used. In some parts, the colors underneath are revealed on the upper layers, and in other parts, the top paint layers cover up the bottom ones. The forms appear to have been drawn without hesitation, and yet none stands out as particularly out of place. They seem to have followed the gradual movement as the artist “left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collis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anvas.”[1] Yang attempts to engage in a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act of painting and seeing; this painterly motif suggests his ongoing concern with attitudes toward images. This way of painting is in line with his attitude of taking the juncture of each brushstroke into a new point of view and awareness, as in writing through the non-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oughts.
The exhibition’s title, “Multiline Rendering”, refers to a basic command often used when making architectural drawings in AutoCAD. The command allows the user to draw multiple line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centerline she draws. It is useful when drawing a wall, which becomes the basis of the final design. If you consider these multilines, as known as Mline in AutoCAD, as not being subject to the conditions of reality, they actually float in the virtual space and carry with it an infinit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This kind of full potential and possibility between strokes – between what he paints and what is being painted – provies the conditions for creativity to Moonmo Yang. His painting is driven by a feedback loop in which a stroke is simultaneously halted and continued by another stroke. This pictorial strategy stems from a kind of reified perspective that can be achieved by actively pushing away a first-person perspective, and eventually casts off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act of painting and the act of seeing.
At the forefront of the gallery, for instance, six paintings Priest / Magician / Explorer / Indigenous / Missionary / Successor (2023) are displayed side by side. This series was inspired by the artist’s own experience of arbitrar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pieces used in tangram. Whe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onceptions of abstract paintings in art history, the paintings have the appearance of geometric abstraction at a glance. However, the paint layers floating on the surface aggregate and disperse at the same time, creating the sense of heaviness as well as lightness and knitting the contradicting elements over the surface. This results in the slippage between the formative principle in abstract painting and Yang’s painting practice. Interestingly, each character assigned to the paintings, which the artist perhaps randomly came up with, occupies a position quite opposite to that of secular man. This naming seems to back up the artist’s attitude or perspective towards painting as both an actor and a receiver, without being bound by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art and by the conventional notion about creation. Yang’s drawings, sculptures, and video works, which are also part of the exhibition, do not have specific referents as well, and yet the works structure his experiment in self-multiplication through painting in a greater detail. He does not start with a complete blueprint he wants to reach. He only has a direction that will lead him to some world, and he moves forward even while failing at times.
by Hayeon Heather Kim
Footnote
[1] Quoted from the artist's note on 8 Augu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