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tured Disappearance
26 October - 28 November 2024
시간에 대한 사유를 종이라는 물성을 매개로 작업해 온 이혜림 작가의 개인전 [Captured Disappearance] 이 10월 26일부터 마테리오 갤러리에서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원료의 층이 겹겹이 쌓이고 압축되어 완성되는 종이의 속성을 지층이 형성되는 방식에 비유하는 작가의 시각을 통해, 다층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전달하고자 한다.
펄프나 닥나무 및 다양한 원료를 겹겹이 쌓고 압력을 가하여 견고한 평면을 이루게 되는 종이는 작가에게 수많은 기억과 시간이 얽히고설켜 만들어진 입체적인 편물로 인식된다. 40장 이상의 색색의 다양한 종이의 단편을 이어 붙이고 다채로운 색의 실로 교차하는 바느질을 통해 완성된 <Tsuzuku (계속되는)> 은 삶의 다양성에 대한 고찰을 드러내며, 한 장으로 이뤄진 화면 내에 여러 시제가 공존하는 듯한 시간의 입체감을 전달한다.
해독하기 어려운 고서를 해체한 파편들을 뒤섞어 새로운 형태의 종이로 만들어낸 <Kankonshi (환혼지-못 쓰게 된 종이를 새로 소생시킨다는 의미) 이하 칸콘시> 는 종이 자체의 물성에서 보이는 과거에 대한 상상을 기반으로 바느질의 행위를 통해 소요하듯 지나는 흔적을 남기는데 이는 스쳐 지나가는 시간에 대해 자취를 남기고 자아를 확인하는 행위이다. 만들어진 시대가 다른 다양한 기원의 종이들의 파편이 교차하여 결합한 마띠에르는 작가의 손끝으로 만들어내는 시점의 습기 및 온도와 만나 예측할 수 없으며 우연적이다.
수천 장의 종이를 손으로 뜯어내고 꿰어내어 기억이 쌓여 형상화된 듯한 길이와 굵기가 다른 기둥 이미지를 통해 개개인의 다양성과 시간의 혼재를 표현하고자 한 <Sequence>에서는 축적되는 동시에 뻗어나가는 연속적인 시간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작업에 사용되는 노동의 절대적인 총량에 따라 사용되는 시간이 시각화되는 결과물로서 행위를 통한 형상의 발현에 안도감을 찾는 작가의 작업 과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촉각적인 종이의 결과 함께 행해지는 비정형적이고 자유로운 리듬의 선들은 희미하여 잘 들리지 않는 소리에 귀 기울이는 듯한 작업 과정 내에서의 행위 그 자체로서 중심을 가지는 결과이다. 단단하고 가벼운 연기처럼 나타나는 형상의 발현은 시간의 다층적인 깊이를 인식하고자 물성의 세계 안에서 자아를 확인하며 남기는 자국들처럼 보인다. 만들어내며 비워낸다고 말하는 작가의 태도에는 지나갈 듯한 이미지를 붙잡고 손을 대어 어떠한 장소를 찾기 위해 디뎌가는 과정 위에 있으며 자연의 시간적 영속성을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다.
글: 한원정
Lee Hyelim's solo exhibition [Captured Disappearance], which has been working on the thought of time through the materiality of paper, will be held at the Materiaux Gallery from October 26. This exhibition aims to convey the artist's attitude toward multi-layered and relative time through the artist's perspective, which compares the attribute of paper, which is completed by stacking and compressing layers of raw materials, to the way the stratum is formed.
Paper, which forms a solid plane by stacking pulp, paper mulberry, and various raw materials and applying pressure, is recognized by the artist as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made by intertwining numerous memories and time. Completed through sewing with more than 40 pieces of colorful paper and intersecting with colorful threads, "Tsuzuku (continued)" reveals considerations of diversity in life and conveys a three-dimensional sense of time as if several tense coexists within a single screen.
"Kankonshi", which is made into a new type of paper by mixing fragments of old books that are difficult to decode, leaves traces of passing through the act of sewing based on the imagination of the past seen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per itself, which is an act of self-identification by leaving a trace of the passing times. Matière, which is combined by intersecting fragments of papers of various origins from different times, is unpredictable and accidental as it meets the moisture and temperature at the moment it is made by the artist's fingertips.
"Sequence", which aims to express the mixture of individual diversity and time through pillar images with different lengths and thicknesses by hand tearing and sewn thousands of sheets of paper, shows the continuous temporality of accumulation and stretching at the same time, which directly reveals the artist's work process of finding relief in the expression of shape through action a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time used according to the absolute total amount of labor used for work.
As a result of tactile paper, the lines of atypical and free rhythm that are performed together are the result of having a center as an act itself within the process of working as if listening to faint and difficult to hear. The expression of a shape that appears like hard and light smoke seems to be the marks that are left confirming the self in the world of physical properties to recognize the multilayer depth of time. The artist's attitude of saying that he creates and empties it is in the process of catching an image that seems to pass by and touching his hand to find a place, and it is an expression of the will to continue the temporal permanence of nature.
Wonjung Han.